Product Management

프로덕트 메니저란 무엇일까?

보다 빠르고 쉽게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프로덕트 매니저가 하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

프로덕트 메니저들은우리앞에 놓여있는 일들과 우리의 업무할 수 있는 인원을 비교했을 때 1. 우리팀이 가진 자원을 100% 사용해 성장하고 있는지(Go Lean) 2. 유저가 가지는 가장 중요한 가치를 기반으로 빠르게 배포하고 확인하는지(Agile) 3. 비즈니스가 해결하고싶은 부분을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프로덕트를 배포하는지 를 가장 위주로 생각하며 일을하고, 이를위해 루틴처럼 하는 업무들이 있습니다.

기조

  1. 스타트업에서 프로덕트 메니저는 단지 “일정을 확인하는”사람이 아니다. 어떤 프로덕트를 통해서 어떻게 사업을 이끌어 나갈것인지, 유저는 어느부분에서 가치를 느낄 것인지 지속적인 확인과 논지를 중심으로 업무를 진행해야 한다.
  2. 프로덕트는 “기능을 수행하는 도구”뿐만이 아닌 “유저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도구”다. 우리가 망치가 필요한 이유는 못을 박기위해가 아니라 “연결” 또는 ”고정”을 위함이다.
  3. 우리가 만드는 프로덕트는 지극히 논리적이지만, 프로덕트를 만드는 우리는 지극히 인간적이다. 인간적인 관계를 기반으로 프로덕트를 만들어 가는것보다 중요한 건 없다.
  4. 나혼자 할 수 있는 업무는 단 하나도 없다. 각자의 전문적인 분야에 대한 부분은 최대한 존중하고, 존중을 통해 더 좋은 프로덕트가 개발될 수 있도록 공통의 가치를 발굴하고 공유한다.
  5. 업무가 길어지면 길어질 수록 늘어지고 답답한 상황들이 생기기 마련이다. 업무를 최대한 작은 스콥으로 분리하고 서로가 어떤일을 할 수 있게 해주는것이 중요하다.

기획 (프로덕트 디자이너와 함께 진행)

  1. 성공적인 프로덕트를 만들기 위한 프로덕트 리서치 업무
    1. 유저들이 프로덕트를 통해 얻을 가치 발견
      1. 개밥먹기를 통한 기능 리뷰 및 개선안 도출
      2. 프로덕트에 대해 더 알기 위한 유저 인터뷰 진행
    2. 사업개발팀의 요청사항 확인 및 기대효과를 기반으로 리서치 진행
    3. 마케팅 등의 요청사항 확인 및 기대효과 확인
  2. 개발 전달을 위한 스토리 라이팅

프로덕트 관리 (개발자 디자이너와의 협의 과정)

  1. 하루하루 아침마다 Daily Scrum을 통한 서로간의 업무 협의
  2. 개발자들과 디자이너들에게 업무에 대한 설명을 위한 개발 협의 회의
    1. Pre-Iteration Preparation Meeting (Pre-IPM)
    2. Iteration Preparation Meeting (IPM)
  3. Jira / Taskworld등을 보고, 업무속도를 확인
  4. 기능개발 릴리즈에 대해선 포스트 모템을 진행하고, 주기적인 회고를 통해 팀 벨런스 및 분위기 확인
Written on August 17, 2019